삼성 스마트TV 모니터 TB750과 갤럭시S2! |
삼성 스마트TV 모니터 TB750(T27B750)과 제가 사용중인 갤럭시S2와의 연결은 위와 같이 MHL케이블을 통해서 가능합니다. MHL케이블과의 연결에서 만족스러운 부분은 MHL케이블을 통해서 화면의 출력신호 뿐만 아니라 사운드 출력도 모니터로 전해진다는 부분입니다. 얼마전에 리뷰하였던 안드로이드용 도킹 오디오에서는 도킹으로 사운드 출력은 전해지지 않아 아쉬웠는데 그 부분이 해결되는 MHL 기능입니다.
삼성 스마트TV 모니터 TB750(T27B750)과 갤럭시S2의 모습입니다. 갤럭시S2의 사용환경은 ICS로 업그레이드 하였습니다.
정말 넓은 작업환경을 제공해주는
TB750(T27B750)의 모습입니다. 스마트허브 기능을 실행한 모습인데 아래로 Homerun Battle, 토이카 레이싱 어플이 설치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한 어플리케이션 기능은 다음번에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현재 대학생인 제가 사용하고 있는 작업환경입니다. 삼성 노트북 SENS NT-Q70/A2, 삼성 스마트TV 모니터 TB750(T27B750), HAHMOY 201W 이렇게 세 기기가 책상을 가득 메우고 있습니다.
MHL 케이블과의 연결! |
MHL케이블은 삼성 스마트TV 모니터 TB750(T27B750)과 갤럭시S2를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매우 간단한 연결방법으로 각각의 위치에 꽂으면 연결이 완료되는 형식입니다.
위와 같이 갤럭시S2에 MHL케이블을 연결하면 연결이 완료됩니다. 그 후에 모니터에서 TV/외부입력 기능을 통해서 MHL모드로 변경해주면 됩니다.
MHL 기능을 활용한 음악 및 동영상 감상! |
MHL케이블을 통해서 갤럭시S2와 모니터의 연결이 완료되면 위와 같이 스마트폰의 첫 화면을 크게 만나볼 수 있습니다. 세로보기의 형태이기 때문에 모니터에서 좌우 여백이 생기고 상하로 꽉 채워지는 모습을 나타내게 됩니다.
갤럭시S2의 환경설정에서 화면 자동 회전 기능을 ON시키고 휴대폰 정보를 본 모습입니다. 안드로이드이 버전 4.0.3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며칠전에 진저브레드에서 ICS로 업그레이드를 하였습니다. 연락처 백업을 하지 않았는데 슬프게도 연락처가 다 지워졌습니다. 겸사겸사 연락처 정리한다는 생각으로 위안을 삼고 있습니다.
그때 그 시절의 노래! 드라마 뉴하트의 OST를 PlayerPro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재생시킨 모습입니다. 갤럭시S2에 나오는 화면처럼 좌우로 넓게 출력되는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음악 감상 및 동영상 감상에서 MHL케이블을 통해서 사운드 출력도 전달되기 때문에 삼성 스마트TV 모니터 TB750(T27B750)의 훌륭한 사운드로 감상할 수 있습니다.
MHL 기능을 활용한 갤러리 속 이야기! |
갤럭시S2의 갤러리 속 사진도 크게 감상할 수 있습니다. 여행 혹은 친구들과 찍었던 사진들을 펼쳐보면서 잠시 추억 속으로 빠져들어볼 수 있는 찰나의 시간을 가지실 수 있습니다. 저는 갤러리 기능을 통해서 공부를 하기도 합니다. 그 부분은 아래에서 보여드리겠습니다.
CANTATA가 운영하는 OK-DJ.COM의 로고도 이미지 파일로 갖고 있는데 갤러리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갤럭시S2에 출력되는 그대로 동일하게 모니터에 출력되고 있습니다.
며칠전에 SLR클럽 Sony/Minolta 포럼에서 활동하시는 분이 직접 내신 책을 구입하였습니다. 들고다니기 작은 크기와 초보자들이 보기에 잘 설명되어 있는 책입니다. 배송받고 갤럭시S2로 사진을 찍었던 것이 남아 있습니다.
사진의 일부를 확대해보았습니다. 확대했음에도 모니터에 출력되는 화면이 깨지지 않고 매끄럽게 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의 촬영 크기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최대 크기로 촬영하였을 시 확대하여도 어느정도 매끄러운 화면을 만날 수 있습니다.
지난 17일 삼성전자 I-Creator 3기 면접을 보러 가서 민망하게 '찰칵'이라는 소리와 함께 대기실에서 셀카를 찍었던 기억을 되살려봅니다. 이 추억을 떠올리며 기쁜 이유는 합격하였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블로그에서 삼성전자 I-Creator 3기의 활동으로도 만나뵐 예정입니다.
지난 영삼성 캠퍼스리포터 활동 시절에 활동사진을 기록해둔 것이 눈에 띄었습니다. 3개월정도 흐른 사진인데 이 사진을 보면서 춥고 배고팠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올랐습니다. 광화문이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유난히 춥고 흐렸던 날씨였습니다.
MHL기능을 사용하면서 사진을 찍었는데 역시 숨길 수 없는 TB750 모니터의 곡선의 미가 눈에 띕니다. 정말 매끈한 디자인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갤럭시S2의 알록달록한 칼라 사진도 TB750의 풍부한 칼라로 잘 표현해줍니다. 2011년을 마무리하면서 영삼성 캠퍼스리포터 11기의 모집을 알리는 목적인 홍보활동이었습니다. 뒤로는 광화문의 바닥이 보입니다.
갤럭시S2로 정말 최고로 잘 찍었다고 생각하는 사진입니다. 바로 작년 하반기에 열렸던 청계천 등불축제에서 가장 핫했던 '뽀로로 등불'입니다. 이 사진을 MHL기능을 통해서 모니터에 출력을 해보았습니다.
야간 사진임에도 갤럭시S2의 능력을 보여주는 사진입니다. 삼성 스마트TV 모니터 TB750(T27B750)에 출력된 뽀통령의 모습이 실감나십니까. 리뷰용 사진 촬영과정 및 보정과정에서 조금 날카롭게 표현된 부분이 없지않아 있는데 정말 마음에 드는 사진중에 하나입니다.
인터넷 환경도 널찍하게! BUT! |
삼성 스마트TV 모니터 TB750과의 연결을 통해서 모니터에 좌우로 꽉찬 화면을 보기 위해서는 갤럭시S2의 화면 자동 전환 기능을 활용해야합니다.
MHL기능을 통해서 OK-DJ.COM 제 블로그의 모바일 페이지로 이동하였습니다. 이 부분에서 아쉬운 것은 브라우저의 기능을 실행함에 있어서 좁은 갤럭시S2 화면정도의 정보만을 출력해준다는 것입니다. 27인치의 화면이 스마트폰의 화면을 그대로 확대해주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브라우저의 사용에서는 다소 제한점이 있어보입니다. 267인치 모니터임에도 위와 같이 글목록이 겨우 한개남짓 보이는 것이 한계점입니다.
삼성 스마트TV 모니터 쇼케이스에 참석하고 남긴 후기의 일부 모습입니다. 모바일 페이지로 출력하다보니 16:9 비율의 사진 한장을 겨우 볼 수 있는 모습입니다. 삼성 스마트TV TB750의 문제가 아닌 MHL 기능과 인터넷의 모바일 페이지의 한계지만 참 아쉬운 부분입니다.
PC화면으로 출력하면 위와 같이 제 블로그의 상단 일부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PC화면으로 출력하면 모바일 페이지보다 나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MHL 기능을 통해서 큰 모니터 화면으로 볼 수 있는 장점을 이용하려면 모바일 페이지는 지양하고 PC화면을 고수해야할 것입니다.
MHL 기능을 활용한 게임실행! |
바로 추억의 게임인 SONIC의 실행모습입니다. 예전에 팩게임기가 한창 유행일 때 정말 많이들 하였던 게임입니다. 어플리케이션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하였습니다.
MHL 기능을 활용해서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제한점이 있습니다. 바로 스마트폰을 보면서 터치를 정확히 해야만 하는 게임의 경우는 MHL 기능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27인치의 삼성 스마트TV 모니터 화면을 보면서 플레이할 수 없는 게임이기 때문입니다. 위와 같이 고정된 부분을 이용하여 플레이하는 게임의 경우 유용하게 큰 화면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요즘 핫하다는 게임인 Homerun Battle 게임입니다. 무엇보다도 조작이 매우 간단해서 좋습니다. 이런 게임이야말로 MHL 기능을 활용해서 플레이하기에 제격인 게임입니다. 단순한 터치형식의 게임이 MHL과 궁합이 잘 맞습니다.
갤럭시S2 들고 있으랴, NEX-5N 카메라로 촛점 잡으랴, 셔터 누르랴, 모니터 잘 보이는지 확인하랴 네가지 일을 한번에 하면서도 HOME RUN을 만들어내는 제 실력이 감이 잡히십니까. 1:1 MATCH UP 대결신청은 언제든지 받아들이겠습니다.
MHL! 벨소리 제작 및 그룹채팅에 유용! |
인터넷으로 TV를 실시간 감상할 경우! |
채널의 재생이 시작되기 전의 모습입니다. 갤럭시S2의 화면이 그대로 모니터에 출력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채널의 재생이 시작되면 특이하게도 전체화면의 기능을 누르지 않았음에도 꽉찬 화면으로 고화질의 실시간 방송을 즐길 수 있습니다. 저와 같이 기숙사에 거주하면서 TV의 출력을 받아보지 못하는 경우에 활용하기에 딱인 어플리케이션과 MHL 기능의 만남이 이루어낸 장관입니다. DMB의 출력이 아쉬운 부분과는 반대로 고화질로 즐길 수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POOQ 어플리케이션에 이어 DMB를 실행시킨 모습입니다. 이 사진에서는 확인이 불가능하나 갤럭시S2의 화면으로 보아도 계단현상과 같은 모습을 볼 수 있으며, 그 출력을 확대한 모니터의 출력은 말을 하지 않아도 아실 것입니다.
모니터 Dead Pixel Test도 MHL 이용한다! |
대학생의 중점! 공부를 할 수 있다! |
스마트폰에 존재하는 TOEIC WATCHER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모습입니다. 집중해야하는 토익시험의 과정을 연습하는 것으로 스마트폰에 자꾸 손이가면 좋지 않다는 생각에 위와 같이 MHL기능을 활용하여 모니터에 띄워두고 스마트폰은 저 멀리 뒤 쪽에 밀어둡니다.
TOEIC WATCHER는 파트별로 목표 시간 등을 정하거나 경과시간을 체크해가면서 토익의 시간관리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시원시원한 크기의 TOEIC WATCHER의 모습이 보이십니까.
공대생이라면 하나쯤 갖고 있으리라 생각되는 공학용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입니다. 주변 친구들중에는 가장큰 공학용 계산기를 갖고 있는 순간이 되지 않나 생각됩니다.
계산기도 좌우로 모니터를 채운 모습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MHL 기능을 이용해서 스마트TV 모니터에 출력되었을 때 모니터의 터치가 가능하다면 좋았을 것 같다는 짧은 생각을 하게되는 순간입니다.
스마트폰에 내장되어있는 기능인 리더스허브를 실행한 모습입니다. 리더스허브를 통해서 구입한 도서, 전문지식, 신문, 만화, 잡지를 27인치의 넓은 모니터 화면으로 출력해서 감상할 수 있습니다.
꽉 채워진 책상위 TB750 |
정말 바쁜 시험공부와 더불어 앞으로도 지속될 TB750에 대한 리뷰도 기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재밌는 카툰으로 알아보는 MHL기능! |
![]() |
CANTATA에 의해 창작되거나 옮겨진
"대학생이 바라본 TB750, MHL기능! T27B750으로 공부도한다!" 은(는) 본 블로그의 필자(CANTATA)의 허락에 의해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FACEBOOK으로 “디지털 라이프를 들려주는 사람의 이야기”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이전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