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브로의 핵심,스트롱에그를 열다! |
와이브로 4G 서비스를 위한 필수 기기인 에그입니다. 에그 중에서도 스트롱에그인데 이 또한 IT기기라는 것을 말이라도 하듯 박스에 봉인 라벨이 붙어있었습니다.
일반적인 제품들의 박스에 나와있는 정보와 마찬가지로 제품 정보에 모델명, 제품명, 제조사, 고객센터 번호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눈에 띄는 것은 제품명이 egg로 모바일 라우터라고 적혀있는 것입니다. 기존에 공유기를 사용하면서 라우터라는 말을 들어왔는데 egg도 네트워크를 중계해주는 라우터의 일종이라는 것을 일깨워주는 표시였습니다.
박스 옆면으로는 이와 같이 에그의 옆모습이 인쇄되어 있습니다. 별다른 의미없는 제품 사진입니다.
모델명, 제품명, 제조사 등의 정보가 적혀있던 반대편에는 에그의 제품 특징이 반대쪽의 설명보다 조금 더 자세히 적혀있습니다. '멀티 세션 지원으로 최대 7대의 WiFi 기기와 동시에 사용 가능', '연속사용 9시간', '간단하고 손쉬운 사용' 이 세가지가 스트롱에그의 특징입니다. 연속사용 9시간은 아무래도 사용자의 사용패턴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날 것으로 보입니다. 제일 괜찮은 것은 최대 7개의 WiFi기기가 동시에 연결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스트롱에그 박스 봉인 라벨을 자르고 박스를 개봉한 모습입니다. 스트롱에그의 포장 또한 최근에 스마트폰 포장에서 유행하는 방식과 유사했습니다.
Accessories 작은 박스에 들어있던 에그를 위한 주변기기 모습입니다. PC를 이용한 충전용 USB, 충전기 그리고 배터리입니다.
스트롱에그의 스트롱한 모습! |
스트롱에그의 스트롱한 모습입니다. 오른쪽으로 보이는 충전 단자가 제가 사용중인 갤럭시 시리즈 충전기와 동일한 핀이어서 상당히 반가웠습니다. 이미 갤럭시S2를 사용하면서 충전기를 사용하고 있기에 에그와 동봉된 USB 케이블과 충전기는 비닐을 뜯지도 않았습니다.
스트롱에그 뒷 커버를 열게되면 초기에 설정되는 와이브로 4G WiFi 정보인 SSID와 접속을 위한 패스워드인 KEY가 적혀있습니다. 이는 간단 매뉴얼을 참고해서 컴퓨터 공유기 정보 변경하듯 손쉽게 변경이 가능합니다.
잘 터지는 환경만큼이나 중요한 속도! |
스트롱에그의 개봉이후 본격적인 환경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현재 거주중인 곳(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동)을 기준으로 테스트하였으며 각 지역 및 환경에 따라서 결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갤럭시S2를 이용한 'BenchBee 속도측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측정하였습니다. 3G, 방에 위치한 공유기를 통한 WiFi, 와이브로의 순으로 측정하였습니다.
제가 개통한 스트롱에그의 초기 SSID는 ollehEgg_059로 갤럭시S2의 WiFi 검색에 쉽게 검색되고 연결이 가능했습니다.
에그의 상태는 불빛을 살펴라! |
기대가 컸고 그만큼의 역할도 해주는 에그! |
이 에그에 대한 총평이라하면 와이브로는 3G 대비 훨씬 빠른 속도라고 말하기에 애매한 부분이 있지만 서울시 3G 지옥에서 벗어나 나만의 이동식 와이브로망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에 만족스러운 와이브로 4G 스트롱에그입니다.
![]() |
CANTATA에 의해 창작되거나 옮겨진
"와이브로 4G 스트롱에그(EGG)로 만난 서울에서의 스마트기기 쾌적함!" 은(는) 본 블로그의 필자(CANTATA)의 허락에 의해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FACEBOOK으로 “디지털 라이프를 들려주는 사람의 이야기”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