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S4 줌 개봉기,광학 10배줌과 갤럭시S4 줌 스마트폰의 놀라운 만남!
갤럭시S4와 광학 10배줌 카메라 기술의 만남인 삼성 갤럭시S4 줌을 만난지 얼마 지나지 않았습니다. 기존 스마트폰에서 느끼지 못하는 카메라의 매력을 갤럭시S4 줌을 통해 느끼고 있습니다.
취업 준비로 한창 바쁜 요즘 갤럭시S4 줌이 카메라를 좋아하는 제게 활력을 불어넣어주고 있습니다. 앞으로 다양한 갤럭시S4 줌의 사진 결과물로 찾아뵙기에 앞서,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과 마찬가지로 역시나 갤럭시S4 줌 또한 개봉기로 먼저 찾아뵈려 합니다.

|
갤럭시S4 줌, 역시 개봉기는 박스부터! |
|
 |
갤럭시S4 줌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된 이 제품은 스마트폰과 카메라의 조합입니다. 박스는 일반적인 삼성 갤럭시 시리즈의 형태 중에서도 최근 갤럭시S4 제품과 같이 나무의 결 무늬를 살린 디자인을 보이며 갤럭시S4 박스보다는 다소 큰 박스입니다.
SK텔레콤용으로 개통한 갤럭시S4 줌이기에 박스에 통신사 로고 또한 선명하게 인쇄되어 있습니다. 특히 이 갤럭시S4 줌은 일반적인 스마트폰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개통은 스마트폰과 다를 것이 없습니다.
(※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리뷰용 사진 촬영간에 조명과 화벨을 일정하게 맞추지 못한 점은 양해 부탁드리며 시작하겠습니다.)

|
언박싱에서 보는 갤럭시S4 줌의 묵직함! |
|
 |
갤럭시S4 줌 언박싱 과정입니다. 무엇보다도 카메라의 기능에 치중한 제품이기 때문에 크기는 다소 묵직한 감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언박싱에 들어갔습니다.
광학 10배줌이라는 갤럭시S4 줌의 가장 큰 특징에 어울리게 상자를 열면 가장 눈에 들어오는 것이 렌즈부분 입니다.
렌즈 하단부부로는 광학 10배줌을 알리는 '10x' 글자가 프린팅 되어 있습니다.
렌즈 부분을 제외하고 좀 더 갤럭시S4에서 특징적인 부분은 카메라로 치면 핸드그립으로 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바로 위에서 볼 수 있는 SAMSUNG 글자가 프린팅 되어 있는 부분의 두께가 포인트입니다.
갤럭시S4 줌 본체만 꺼내어보니 나타난 것은 바로 예상할 수 있으셨겠지만 셔터 부분입니다. 어쩌면 갤럭시S4 카메라 기능 사용간에 가장 많이 사용할 버튼인 셔터 버튼입니다. 옆 라인의 디자인 배색 또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 전문가들 또한 카메라를 사용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카메라의 스펙적인 면도 있지만 그립부분을 중시한다고 합니다. 물론 갤럭시S4 줌은 스마트폰의 기능이 주가 되지만 그 기능과 더불어 다른 제품과 차별화 요소인 카메라 기능이 중요하므로 위와 같이 핸드그립의 기능이 가능하도록 볼록한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상단부에는 기존 스마트폰에서 볼 수 있는 스피커 및 이어폰 단자를

|
따로 꺼내 보자! 갤럭시S4 줌 본체! |
|
 |
갤럭시S4 줌 본체만 박스에서 따로 꺼내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번 탁구대 위 리뷰에 이어 당구대 위 리뷰 컨셉으로 진행해보았습니다. 조명 상황이 별로 좋지 않은 곳에서 진행하였던 것이 다소 아쉬운 부분입니다.
갤럭시S4 줌의 전면부를 대각선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입니다. 아무래도 제가 계속 강조하고 있는 부분은 렌즈외에 손잡이로 볼 수 있는 핸드그립 부분이 가장 눈에 띕니다.
여느 삼성 갤럭시 제품과 마찬가지로 스피커 하단부에는 SAMSUNG 글자가 프린트 되어 있으며, 이어폰 단자가 상단부에 위치해 있습니다. 아이폰5를 사용하면서 하단부로 옮겨진 이어폰 단자만 보다가 위쪽에 위치한 것을 보니 또 다른 색다름이 있습니다. 기존 갤럭시 제품군과는 동일한 형태입니다.
특히 갤럭시S4 줌 또한 LTE를 지원하기 때문에 위 사진에서는 작게 보이지만 QUALCOM 4G 기술이 사용된 것을 알리는 스티커가 여지없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갤럭시S4 줌은 LTE를 지원하는 단말입니다.
갤럭시 제품군의 표준화된 충전 단자를 볼 수 있으며 하단부에는 핸드폰 고리를 걸 수 있는 구멍 또한 위치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옆으로 삼성에서 주로 사용하는 마이크로 SD카드 삽입 단자 또한 위치해 있는데 그 부분은 아래에서 자세히 보여드리겠습니다.
어쩌면 삼성 갤럭시S4 줌에서 중요시 되는 가장 큰 부분이 렌즈입니다. 렌즈를 보면 4.3~43mm, 1:3.1~6.3 24mm 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숫자만 보아도 어느정도의 렌즈 스펙을 갖는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DSLR과 같은 밝은 고성능의 렌즈는 아니지만 기존 평균적인 똑닥이 렌즈의 수준으로 충분히 스냅샷에는 유용한 스펙이라고 생각합니다.
갤럭시S4 줌에 위치한 보조광과 플래시입니다. 보조광은 AF시에 보조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제논 플래시가 위치하고 있어 부족한 광량의 환경에서도 촬영이 가능합니다.
물론 스마트폰 기반의 갤럭시S4 줌이기 때문에 UI는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한 갤럭시S4와 다를 것이 없습니다. 갤럭시S2를 사용하다 아이폰5로 넘어온 사용자로서 오랜만에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게 되어 안드로이드만의 자유로움을 바탕으로 한 추억이 새록새록 돋고 있습니다.
평소엔 쏙 들어가 있던 렌즈가 튀어나오는 순간 갤럭시S4 줌의 진정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렌즈 경통이라고 할 수 있는 저 부분이 튀어나오고 들어감으로서 디지털 줌이 아닌 광학 10배줌을 지원합니다. 이 부분이 아무래도 갤럭시S4 줌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또한 기존 스마트폰의 이미지 센서 크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큰 이미지 센서를 갖고 있습니다.
렌즈 경통과 본체가 만나는 부분에 위치한 링은 줌링입니다. 일반적인 똑닥이도 지원하지 않는 줌링을 갤럭시S4 줌이 지원함으로서 촬영간 편의성을 고려한 제작자의 의도가 눈에 띕니다.
광학 줌의 배율을 조절하는 줌링과 더불어 실제 카메라 컨트롤 화면 좌측 상단부에 + - 돋보기로서 터치로 컨트롤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또한 앞으로 보여드리겠지만 다양한 모드가 지원됩니다. 자동, 스마트모드, 장면모드, 전문가모드 등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최적의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UI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렌즈의 우측 상단으로 보이는 두개의 나란한 길죽한 구멍은 스피커입니다. 아무래도 갤럭시S4 줌이 카메라이기 이전에 스마트폰이기 때문에 어떠한 상황에서든 카메라의 촬영음은 무음으로 설정할 수 없습니다.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면서도 셔터음 외의 음은 모두 제거하고 사용하는 사용자로서 이부분이 가장 아쉬운 부분이지만 법적인 가이드라인을 지키기 위한 것이므로 감수해야 할 것입니다. 갤럭시S4 줌 해외판의 경우는 기존 스마트폰의 출시 방향과 마찬가지로 무음처리가 가능합니다.

|
갤럭시S4 줌 본체 외 알짜 구성품! |
|
 |
갤럭시S4 줌 본체를 제외한 알짜 구성품을 살펴보려 합니다. 아무래도 요즘은 구성품에 대한 관심도 또한 상당히 높기 때문에 이 부분도 많은 신경을 쓰는 것 같습니다.
이처럼 가려져 있던 박스를 열어보면 하단부에 구성품을 만나 볼 수 있습니다.
점점 간편하고 작게 변화해가는 구성품의 트렌드와 마찬가지로 위와 같이 매우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일반적인 스마트폰 구성품에 포함되지 않은 청소용 융이 들어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 외에는 이어폰 구성품, 충전기, USB케이블, 사용 설명서가 있습니다.
충전기를 살펴보면 갤럭시 제품군의 충전기와 동일합니다. 기존에 갤럭시 제품군 충전기를 사용하고 있다면 특별히 추가 사용이 필요없어 보입니다. 저 또한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삼성 미러리스 카메라 NX300 의충전기 및 USB 케이블과 호환이 되기 때문에 사용을 하지 않고 보관해둔 상태입니다.
사용 설명서 및 촬영 안내서입니다. 그 외에 추가적으로 보이는 것은 삼성의 메신저 서비스인 챗온에 대한 광고지입니다. 설명서와 촬영 안내서는 두가지 모두에 붙어있는 '간단' 이라는 단어에서 볼 수 있듯이 매우 간단하게 사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특별히 스마트폰을 처음 접하신 분이 아니라면 한번정도 훑어보고 접어두셔도 됩니다.

|
조금 더 살펴보는 갤럭시S4 줌의 모습! |
|
 |
갤럭시S4 줌은 일반적인 스마트폰과 같이 뒷판이 열리는 구조로 설계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위와 같이 옆면을 이용해서 배터리와 USIM 칩을 삽입하는 구조입니다.
특히 카메라에서 주로 볼 수 있는 구조인 배터리 지지대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배터리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대를 OPEN방향으로 당겨서 배터리를 꺼낼 수 있습니다.
배터리 지지대를 OPEN방향으로 당겨서 열게되면 배터리가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배터리가 안쪽에 위치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배터리 지지대가 위치하게 된 이유는 기존에 뒷판에 딱 맡는 네모 크기에 흔들리지 않게 위치 가능한 형태에서 변형을 함으로서 지지대 없이 배터리를 고정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랐을 것으로 보입니다.
넓적하니 믿음직스러워 보이는 배터리가 깊숙이 위치해있었던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배터리 관련해서 가장 아쉬운 부분은 아무래도 갤럭시S4 줌의 제품 구성에 있어서 배터리가 하나뿐이다라는 점입니다. 물론 어느정도 받쳐주는 배터리의 용량을 보유하고 있지만 카메라를 주력으로 하는 스마트폰 제품으로서 두개의 배터리 구성으로 이루어졌으면 어떠했을까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삼성 갤럭시S4 줌의 배터리는 3.8V Li-ion BATTERY 8.85 Wh 이며, 가장 소비자들이 민감한 배터리 용량은 2330 mAh입니다.
갤럭시S4 줌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면서 느낀 바로는 빠르게 소모될 것이라는 생각과는 달리 하루정도의 촬영용으로는 적정한 수준이라고 생각됩니다.
기기의 전원을 켜게되면 Samsung GALAXY S4 zoom 로고를 만날 수 있습니다. zoom의 글씨가 귀여운 작은 크기로 위치해 있습니다.
갤럭시S4 줌을 이용해서 제 블로그에 접속해본 모습입니다. 갤럭시S4 줌 역시 카메라 기능과 더불어 스마트폰이라는 본질에 맞게 LTE를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LTE 서비스를 이용하면 쾌적한 웹브라우징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카메라라는 특징에서 중요시되는 셔터 버튼입니다. 일반적인 카메라와 같이 반셔터 시스템이 지원되는 셔터로 손을 살짝 올려서 셔터부분을 누르면서 포커스를 잡는 과정을 거치고 꾸욱 눌러 촬영을 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추후 설명해드리겠지만 화면을 통한 터치 포커스가 지원되기 때문에 손쉬운 포커싱도 가능합니다.
삼성 갤럭시 제품군에서 대부분 위치하고 있는 마이크로 SD카드 삽입부입니다. 카메라로서의 기능을 해야하기 때문에 내장 메모리에 부족함을 느낄 경우 추가적인 마이크로 SD카드 구입으로 외무 메모리를 활용하면 유용할 것입니다. 메모리의 가격은 상당히 저렴하게 구성되어 있어 만족도 대비 매우 저렴합니다.

|
갤럭시S4 줌의 상세 스펙사항은! |
|
 |
갤럭시S4 줌의 상세 스펙은 말로 주저리 주저리 표현하는 것보다 삼성전자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정확한 정보를 보는 것이 더 나으므로 상세 스펙을 위와 같이 첨부해드립니다.
실제 스펙은 갤럭시S4 스마트폰의 스펙이 미치지 못하지만 카메라를 주력으로하는 스마트폰의 제품으로서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습니다.

|
총평과 기대감 그리고 미리보는 결과물! |
|
 |
갤럭시S4 줌을 일주일정도 현재 사용하고 있는데 기기의 AP, 디스플레이 등의 스펙을 따져보기 이전에 가장 중요시 해야할 부분은 카메라 기능입니다. 이 부분에 있어서 삼성전자 무선 사업부와 디지털이미징 사업부의 만남이 이루어낸 결과물로서 충분히 매력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카메라 기능을 중요시하다 보니 기존에 스마트폰에서 추구하던 크고 넓지만 얇은 제품의 특징들이 사라지고 어느정도의 무게감과 두께가 생겨났습니다. 그러나 카메라라는 주력 기능에 있어서 무게감과 핸드그립 부분 등으로 인한 두께는 촬영자에게 촬영간 안정적인 파지와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여지를 주고 있습니다.
물론 전문적인 DSLR 카메라를 이용하여 일상 스냅 등을 촬영하는 분이라면 이러한 카메라 제품군이 눈에 띄지 않겠지만 워낙 요즘은 우리 삶이 스마트폰 하나를 이용하여 생활을 기록하고 남기는 스냅 사진이 주가 되다보니 그동안 아쉬웠던 부분을 카메라와 스마트폰의 만남으로 풀어냈다는 점에서 매력이 있습니다.
앞으로 더욱이 가장 중요한 갤럭시S4 줌의 카메라 결과물에 대한 것들을 보여드리겠지만 일주일 동안 촬영하였던 몇개의 위 사진으로 보아도 기존 스마트폰으로 만들어내지 못하는 결과물을 만들어준다는 것에서 앞으로의 활용이 더욱 기대됩니다.
(※ 위 세장의 결과물 가로 1200px 크기로서 사진을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