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스테이션4(PS4)의 듀얼쇼크4를 별도로 전해드리기 위해 PS4 듀얼쇼크4를 바라볼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였습니다. 이전 듀얼쇼크와 비교해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부분은 듀얼쇼크4에 처음 도입된 터치패드와 SHARE버튼을 들 수 있으며 추가로 그립감 향상을 위해 바뀐 그립부가 있습니다.

PS4에서 사용자 친화적인 부분, 듀얼쇼크4 |
요즘은 Twitter, Facebook과 같은 SNS가 다양하게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트렌드에 맞춰나가려는 플레이스테이션4의 소셜공유 기능은 게임을 즐기면서 바로 화면을 캡쳐하여 사진을 공유하거나 플레이 영상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효과적으로 이 기능을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듀얼쇼크4에 SHARE 버튼을 위치시켜 빠르게 순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려는 노력이 보이는 부분입니다.
단적으로 번들킷에 포함된 킬존 쉐도우폴 게임을 예로 들면 게임 플레이시 캐릭터가 소지하고 다닐 수 있는 보조 로봇을 별도로 컨트롤 할 수 있는 부분이 바로 터치패드와 L1 버튼입니다. 캐릭터를 컨트롤 하면서 동시에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별도의 컨트롤을 부가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는 것입니다.
SHARE 버튼과 터치패드와 함께 눈에 띄는 다음 부분은 듀얼쇼크4의 그립부입니다. 듀얼쇼크3의 그립부 사진을 듀얼쇼크4 위 사진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립부의 형태 변화만 보아도 사용자 친화적으로 그립감을 높이기 위해 노력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립감이 부족하다는 평들이 나오고 있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 남자들 중에서 작은 손에 해당되는 제게는 손에 딱 맞는 그립부 형태입니다. 그립감은 개인적인 편차가 매우 큰 부분이기 때문에 사진으로 보는 것보다도 직접 한번 그립부를 잡아볼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남자들 중에서 매우 작은 손에 해당되는 제가 한번 듀얼쇼크4 그립부를 잡아봤습니다. 듀얼쇼크3와는 다르게 그립부에 어느정도 두께가 있어 손에 쏙 들어오는 적당한 그립부 크기입니다.
전체적으로 듀얼쇼크4 디자인은 이전 듀얼쇼크3에 비해 둥글둥글해졌다는 직관적인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진 듀얼쇼크3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듀얼쇼크4입니다.
두손으로 듀얼쇼크4의 그립부를 잡아보면 위의 사진과 같습니다. 아직 듀얼쇼크4와 덜 친해진 것인지 저는 L1, L2, R1, R2 버튼 위에 모두 손가락을 올려두고 컨트롤하기에는 아직 어색해 검지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PS4 듀얼쇼크4를 간단하게 사용해본 영상입니다. PS 버튼을 이용해 무선으로 부팅할 수 있는 기능과 함께 킬존 쉐도우폴을 잠깐 플레이시켰습니다. 중간에는 킬존 쉐도우폴 플레이 간 듀얼쇼크4의 진동도 엿볼 수 있습니다.
듀얼쇼크4 관련 이슈들이 제기되는 부분! |
플레이스테이션4 본체 관련 이슈와 더불어 듀얼쇼크4도 이슈들로부터 자유롭지 않습니다. 이슈의 가운데에는 아날로그 스틱과 트리거 버튼 두가지가 있습니다.
트리거 버튼중에는 R1, L1 버튼을 눌렀을 때 위치가 원상 복구되지 않는 이슈가 있으며, 아날로그 스틱의 경우 재질과 관련해서 사용간 벗겨짐의 이슈가 있습니다.
아날로그 스틱의 경우 고무 재질로 볼 수 있는데 엄지 손가락으로 컨트롤 하는 과정에서 마찰이 발생하거나 손톱 등으로 뜯김이 발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날로그 스틱의 조작감은 적당한 탄성과 높이로 엄지손가락의 부담없이 사용가능합니다.
물론 제기되고 있는 아날로그 스틱의 내구성에 대해서는 저 또한 지속적으로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 혹여나 이슈가 발생되면 AS센터를 통해 듀얼쇼크4만 별도로 새제품으로의 교환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트리거 버튼의 경우 게임에서 총을 쏘는 등의 컨트롤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트리거 버튼은 자주 그리고 빠르게 누르게 되는데 그래서 관련 이슈가 더욱 중요하고 자주 부각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전반적인 PS4 듀얼쇼크4의 버튼 누름 및 형태를 확인하기 위한 영상입니다. 영상 속 사운드를 들어보면 PS4의 소음정도도 가늠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듀얼쇼크4의 특별함! |
듀얼쇼크4에는 또 다른 몇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Enhanced Vibration 시스템으로 여러 개의 진동 모터가 게임 플레이시 조금 더 실감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줍니다. 킬존 쉐도우폴의 경우 총에 맞거나 죽는 경우 진동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전면부에 Light Bar는 듀얼쇼크3 대비 새로운 부분입니다. 그러나 Light Bar의 경우 게임 플레이에 집중하면서 보기에는 위치가 상당히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전면부 Light Bar와 더불어 후면부에는 Build-in Mono Speaker와 Headset Jack이 위치해 있습니다. PS버튼 위쪽으로 보이는 구멍이 바로 Build-in Mono Speaker인데 게임상 진행 멘트와 같은 소리가 출력되곤 합니다. 그리고 헤드셋을 통해 게임 사운드를 출력하여 조용한 공간에서도 자신만의 플레이 공간을 만들수 있습니다.
Build-in Mono Speaker를 통해 게임 진행 멘트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입니다. 영상 속 출력 사운드는 모두 듀얼쇼크4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것입니다.
다양한 개선점 그리고 이슈를 담은 듀얼쇼크4 |
PS4용으로 출시를 앞두고 있는 많은 게임들을 만나기에 앞서 다양한 게임 플레이를 위해 혹사시켜야 하는 듀얼쇼크4이기에 기대가 되면서도 이러한 이슈들을 듣게되면 신중해지는 것 같습니다.
![]() |
CANTATA에 의해 창작되거나 옮겨진
"플레이스테이션4(PS4) 컨트롤러, PS4 듀얼쇼크4 바라보기!" 은(는) 본 블로그의 필자(CANTATA)의 허락에 의해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FACEBOOK으로 “디지털 라이프를 들려주는 사람의 이야기”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